-
의학용어
2023.02.11
RN NOTE |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학용어 및 약어(A~O)
RN 프셉노트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학용어 및 약어(A~O) ● A 약어 원어 의미 1V Dz 1 vessle disease 주관상혈관중 1혈관질환 24 hr UC 24 hour urine collection 24시간 소변모음 2V Dz 2 vessle disease 주관상혈관중 2혈관질환 3V Dz 3 vessle disease 주관상혈관중 3혈관질환 Abd Abdomen 복부 ABGA A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액가스분석 ABO blood group system(A,AB,B, & O) ABO식 혈액형 ABR absolute bed rest 절대안정 AC abdominal circumference 복부 둘레 ACTH adenocorticotrophic hormone 부신피..
-
케어플랜
2024.03.17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정의, 위험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출혈 위험성 (Risk for Bleeding) 간호진단 ** 출혈의 위험 정의 실제 출혈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출혈 가능성이 높고 출혈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 위험요인 동맥류 파종 혈관 내 응고장애 간기능장애 산후 합병증 외상 치료요법 임신 합병증 선천성 응고장애 위장관계 상태 포경 수술 출혈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목표 환자는 입원 기간 동안 출혈 없이 안전하게 회복합니다. 환자는 입원 기간 동안 출혈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안전하게 퇴원합니다. 단기 목표: 환자는 24시간 동안 출혈 징후를 보이지 않습니다. 환자는 72시간 이내에 혈액 응고 지표 (PT, PTT, INR 등)가 정상 범위로 유지됩니다. 환자는 48시간 이내에 항응고제 복용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안전하게 복용합..
-
케어플랜
2024.02.29
급성 통증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간호진단 : 급성 통증 Acute pain 정의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되거나 이런 손상을 기술 하는 불쾌감이나 감정의 경험으로(국제통증연구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경한 수준에서 심한 강도까지 급성 또는 천천히 발생하며, 끝이 예상되거나 예견되는 유형 관련요인 생물학적 손상 요인(예: 감염, 허혈, 종양) 화학적 손상요인(예: 화상, 캡사이신, 메틸렌 클로라이드, 겨자작용제) 신체적 손상요인(예: 농양, 절단, 화상, 절상, 무거운 것 들기, 수술절차, 외상, 과도한 훈련) 급성통증 간호진단 예시 간호목표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외상 관련된 급성 통증 화상 관련된 급성 통증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염증과 ..
-
사회복지 실습일지
2024.03.05
사회복지 실습 중간평가서 : 재가노인복지센터
사회복지 실습 중간평가서 : 재가노인복지센터 * 본 평가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지침서를 참고하여 실습생 본인이 작성하며, 서술양식으로 작성한 뒤 실습 실습지도자와 평가회를 갖는 것을 추천합니다. 실습생명 기관명 재가노인복지센터 실습기간 실습지도자 실습평가일 실습지도교수 1. 실습목표와 관련된 실습내용 및 역할에 대한 평가 1.1. 수행한 실습내용 및 역할의 요약 실습 기관동안 현장 경험을 통해 중랑구재가노인센터의 기능과 사업을 보조하면서 이론적인 측면과 현장의 차이에 대하 배우고, 실무를 통해 노인성 질환을 가진 어르신들을 이해하고 관령 업무를 전반적으로 수행하면서 사회복지사의 필수적인 역량을 채울 수 있던 것 같습니다. 1.2. 평가 아직은 미숙한 부분이 너무 많아서 정신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
-
케어플랜
2024.03.30
조현병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조현병 간호진단 망상적 사고는 조현병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현실과의 분리된 신념이나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환자들은 현실적이지 않은 믿음을 강하게 믿거나, 사회적 및 문화적인 관행에 맞지 않는 특이한 사고 양식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망상적 사고는 환자의 인지적인 기능을 방해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주요한 증상입니다.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 :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는 새로운 환경이나 변화된 상황에 적응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애는 잠을 설치는 것이나 일어나는 시간이 변하거나,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등의 현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스트레스나 불안과 관련이 있으며,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더욱 취약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