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노트/검사종류16 RN NOTE | 혈액검사 종류와 순서 RN 프셉노트 혈액검사 종류 1. EDTA bottle(보라색 bottle) : 2~3cc 채혈 - CBC&ESR - Amonia - Reti Count, Blood cell Morphology(Pb smear) - Rh/ABO, type screening - ACTH (EDTA bottle 2개) - HbA1C * Rh/ABO와 Type screening 각각 따로 나가야하므로 bottle을 따로 사용하고 채혈자와 확인자 서명을 다르게 적는다 2. SST gel (빨간색 bottle) : 3~5cc 채혈 - ADM, Electro, B/Cr, Vit D3 - Liver panel(OT/PT, Amy/Lipa, GGT), Lipid panel(Chol, TG,HDL-C), CRP정량 - Cardiac k..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6. 27. 임상 | 결장암 진단검사 간호중재 결장암 진단검사 및 간호중재 1.특징 ① 50세 이상에서 호발 ② 대부분 선암 ③ 발생부위:직장(50%)>s자결장>하행결장>상행결장 2.원인 ① 저섬유식이,고지방식이,저비타민식이,흡연,알콜 ② 가족력(선종성 용종,결장암),비만,적은 운동량 ③ 만성 궤양성 대장염 3.병태생리 ① 저섬유식이→변생성량 감소→대변 장내통과시간 지연→변내 발암물질과 장점막 간의 접촉시간 길어짐 ② 선종성 폴립→악성화→장침윤→주변 장기로 전이 4.임상 양상 ① 직장출혈,혈변,배변습관 변화,이급후증,장폐색,복통 ② 체중상실,식욕부진,오심,구토,빈혈,덩어리 촉진 우측 결장암 좌측 결장암/직장암 장의 관강이 넓음 대변이 묽은 상태 궤양발생으로 빈혈가능 체중감소,식욕부진 피로감,허약감 복통,오심,구토 덩어리 촉진 검은변(잠혈) 폐색증상으..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6. 20. RN NOTE | <심혈관계> 심도자법(cardiac catheterization) 간호 심혈관계 심도자법 간호 심도자법(cardiac catheterization) 심도자술은 말초혈관을 통해 방사선 불투과성 카테터를 심장 안으로 삽입하는 침습적 진단 방법이다. 카테터는 경피술을 통해 삽입한 내경이 넓은 바늘 안을 통해 정맥으로 삽입한다. 투시검사(fluorocopy)를 사용하여 카테터가 심장으로 정확히 유입되는지 확인하며 진행한다. 카테터의 끝이 심방 내로 들어가면 조영제를 주입하고, 주입된 조영제의 확산과 순환을 촬영한다. 심도자법은 심장질환 진단을 위한 가장 가치 있는 진단방법으로 전신 혹은 국소 마취를 사용하여 보통 대퇴(전박) 정맥이나 동맥, 신생아에서는 제대정맥이나 제대동맥 같은 말초혈관을 통해 심장으로 방사선 불투과성의 카테터를 삽입(대퇴정맥으로 삽입하여 하대정맥, 우심방, 우심..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5. 20. 임상 | 염증성 장질환/게실질환/식도역류 증상과 치료법 염증성 장질환/게실질환/식도역류 증상과 치료법 [게실질환: Diverticula Disease] ✚증상: 확실하지않고, 게실염이되면 확인됨 1. 정의 : 장기간 변비가 진행되어 변 오물이 대장의 벽 주변을 악화시켜 게실이라는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 2. 특징: 노화와 함께 진행, 70대 포함 사람의 절반이 증세를 보임(이중 10~20%는 게실염-diverticulitis으로 악화됨..게실염의증상에는 경련, 설사, 발열, 일시적 직장출혈) 3. 원인 : 저식이섬유식사(변이 딱딱해져 배변이 힘들어짐) 4. 치료목표 : 장을 휴식시켜 감염이 회복되도록 5. 치료방법 : NPO에서 점차적으로 맑은 유동식섭취 6. 식이법? ❍ 식이섬유함유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고섬유질 식이를 계획한다. ❍ 섬유질많은 과일, 채..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5. 10. 임상 | 심전도검사 판독방법과 간호(Electrocardiogram : EKG) 심전도검사 정상 수치와 비정상 수치 (1) 심전도 검사 (Electrocardiogram : EKG) 심박동의 주기 중 일어나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 활동 상태를 나타나는 것으로 효율적인 진단방법이다.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자극은 전도계를 통해 심근으로 전파되고 이는 전신에 약한 전류를 방출하여 신체 표면에 부착된 전극에 의해 검출된다. 이 특수 전극을 유도(lead)라 한다. 심전도란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도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표준 12유도 심전도 외에 운동부하 심전도, 활동중 심전도(홀터 기록과 사건기록 심전도) 등이 있다. 순환기 질환의 진단에 많은 검사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심전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며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다. 심전도는 정확하고 간단..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5. 9. 임상 | Melena & Hematochezia 차이점과 간호 Melena & Hematochezia 차이점과 간호 사람의 정상적인 변 색깔은 옅은 갈색 또는 갈색입니다. 그 외의 색깔은 음식물을 먹어서, 철분제를 먹어서 등등 변 색깔이 변할 수도 있지만, 위장관에서 Bleeding이 있어도 변색깔은 달라지게 됩니다. Hematochezia(혈변)과 Melena(흑변)은 공통적으로 Gastrointestinal Bleeding(GI Bleeding)입니다. 하지만 Hematochezia 같은 경우는 Lower GI Bleeding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배설되는 시간은 짧습니다. Melena는 Upper GI bleeding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출혈로 인한 혈액들이 항문으로 배설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혈액이 검게 변하게 됩니다. Q. 상부위장관..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5. 9. RN NOTE | EEG & EEG 검사 정의와 검사방법 EEG & EEG 검사 정의와 검사방법 EEG Electroencephalography ▣ 정의 뇌파검사는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고 뇌의 미세한 전기활동을 증폭하여 기록하는 검사로 시간이나 상황마다 변하는 뇌 기능의 변화를 볼 수 있는 검사입니다. 뇌파검사는 깨어있는 상태에서 시행하거나 수면 상태에서 시행할 수 있고, 전극만 부착하여 시행하므로 통증이 없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각성과 수면 시의 뇌파가 모두 기록되었을 때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뇌파 검사는 주로 간질발작을 진단하고 감별하는 데 사용되며 그 외에도 뇌졸중, 뇌종양, 뇌염 등 여러 뇌 질환 진단 시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간호 준비 두피가 청결해야 전극이 잘 부착되어 뇌파 신호가 잘 검출되므로 검사 전 머리..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2. 26. RN NOTE | 기타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RN 프셉노트 심장 기능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1) Venography - 목적: 상지 혹은 하지 심부정맥 폐쇄의 진단을 위함. - 적응증: DVT - 검사 방법: 부종이 있는 부위의 양쪽에 동위원소를 정맥주사 후 촬영한다. - 전처치: IV확보 - 후처치: 없음 2) EEG(뇌파검사: Electroencephalography) - 목적 : 뇌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함으로써 뇌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적응증 ① 간질 환자 및 경련성 진환의 진단, 치료 효과 판정, 수술의 예후 판정을 위해 ② 뇌사 판정을 하기 위해 ③ 뇌종양, 두통 등 뇌세포 병변의 진단을 위해 ④ 두부 외상, 정신장애자 등의 평가를 위해 - 검사방법 ① 19개의 활성전극과 2개의 기준 전극을 머리 두피..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2. 20. RN NOTE | 핵의학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RN 프셉노트 핵의학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1) BMD(골밀도 측정:Bone mineral densitometry) - 목적 : 방사선의 감약 성질을 응용한 것으로 일정 에너지를 가지는 선원을 피사체에 투과시키고 이때 투과된 선송의 감약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피사체의 밀도를 알 수 있게 하여 골절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운동, 약물요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골조직의 손실을 막아서 골절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함. - 적응증 ① Estrogen 결핍 여성 ② 척추이상이나 방사선 검사상 골량 감소 환자 ③ 장기간 당직 corticoid를 사용한 환자 ④ 무증상적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 검사방법: 누운 상태로 L-spine과 Lt.femur를 찍는다. - 검사실: 신관 1층 골밀도 검사실 - 전처치..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2. 19. RN NOTE | 영상의학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RN 프셉노트 영상의학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1) CT - 목적: mass, cyst, abscess, metastasis여부를 알기 위함. - 적응증 ① Abd CT: 췌장종양, 염증, 낭종, 복수, 간경화 등 ② Chest CT: 종양, 결정, 동전형 병소, 낭포, 늑막 삼출, 비후된 림프절 등 ③ Brain CT: 두개내 신생물, 대뇌 경색, 뇌실의 위치이상, 뇌실크기의 증대, 피질의 위축 대뇌 동맥류, 두 개내 출혈과 혈종, 동정맥 기형등 ④ Cardiac CT: 관상동맥 협착, 관상동맥의 정상 변이 및 선천성 기형, 시술 후 재협착 평가, CABG후 이식혈관 평가 - 검사종류 및 방법 ① Abd CT : 환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움직이게 되면 사진이 흐리게 나오기 ..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2. 18. RN NOTE | 심장기능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RN 프셉노트 심장 기능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1) E.K.G - 목적: 심장박동 때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전류에 의해 파형으로 기록하여 안정시 심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일정 시간 동안 전극을 통해 심전도의 정보를 수집한 후, 기록되는 동안 발생하는 이상소견을 확인. - 적응증: 부정맥·협심증·심근경색증·심장비대 등의 심장질환 진단 - 검사방법: 안전한 상태로 반듯이 눕고 수족, 앞가슴 부위에 전극을 붙인 다음, 그 전극으로 유도된 전압의 변화를 심전계로 기록한다. 가슴에 6군데, 양쪽 사지에 각기 1개씩 총4개의 전극을 붙이고, 심장의 활동에 의해서 근육이나 신경에 전달되는 전류의 변화를 유도하여 기록한다. - 검사실: 1층 내과외래 옆 심장센터 - 전처치 및 후처치: 없음 2) E..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2. 17. RN NOTE | 호흡기계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RN 프셉노트 호흡기계 검사 종류와 검사 전/후 간호 1) PFT( 폐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 - 목적: 폐질환 여부 및 경중정도, 치료경과를 판단하고, 수술환자의 호흡기 합병증 위험 여부를 판단하며, 작업수행능력 측정 및 특정작업의 호흡기 장애 초래여부를 판다. - 적응증 ① 호흡곤란 호소환자의 1차적인 검사 ② 폐질환이 진단된 환자에서 질환의 경중적도 판단 ③ 폐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의 치료경과 판단 ④ 수술전 호흡기 합병증 위험여부 판단 ⑤ 근로자의 작업수행능력 측정 ⑥ 특정작업의 결과 호흡기 장애 초래여부 판단. - 검사종류 ① 폐활량 측정법(spirometey) 및 유량기량곡선(flow volume curve) : 최대 노력성 호기곡선(maximal-effort..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2. 1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