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3 알기 쉬운 심전도 기본(2) 알기 쉬운 심전도 기본(2) 이 영상은 ECG 해석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구성 요소가 심장 내 전기 활동을 나타내며, 정상 및 비정상 심전도를 판독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환자 정보 및 기계 보정을 확인한 후 전체적인 전기 활동의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상 리듬, 비정상 리듬, P파, PR 간격, QRS 복합체, ST 세그먼트, T파, QT 간격 및 U파 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ECG를 분류하고 각종 부정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ECG의 중요성과 구성? ECG는 심전도의 외국곡으로, 심장의 전기 활동을 나타내죠. P파는 심기근의 탈분근을 나타내며, 각 구성 요소는 심장의 전기 활동을 대응하는 것이에요. 정상 12-도 ECG는 4개의 팔다.. 임상 노트 2024. 4. 16. 알기 쉬운 심전도 기본(1) 의학에서 알아야 할 가장 흔한 ECG 소견들에 대해 설명하는 글 입니다. 심장의 이상 리듬인 동정맥 리듬부터 심박수 감소인 동상세동까지 다양한 패턴을 다룹니다. 심박수가 떨어지면 동정맥부정맥, 높아지면 동상세동이 됩니다. 불규칙한 심박수를 나타내는 무규칙한 긴 기간의 심장 리듬, 심방떨림과 문맥 차단, 조기 수축 및 심방 세동, 번들 블록, 심실 빈맥, ST 상승, 심근 경색, ST 감소, 증후군, 등 ECG 소견의 특징 등을 다룹니다. 또한 각각의 소견들이 가리키는 질병 및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Rhesus Medicine A library of concise medical videos to help Medical students and other Health Profession students .. 임상 노트 2024. 4. 16. 임상 | 심전도검사 판독방법과 간호(Electrocardiogram : EKG) 심전도검사 정상 수치와 비정상 수치 (1) 심전도 검사 (Electrocardiogram : EKG) 심박동의 주기 중 일어나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 활동 상태를 나타나는 것으로 효율적인 진단방법이다.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자극은 전도계를 통해 심근으로 전파되고 이는 전신에 약한 전류를 방출하여 신체 표면에 부착된 전극에 의해 검출된다. 이 특수 전극을 유도(lead)라 한다. 심전도란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도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표준 12유도 심전도 외에 운동부하 심전도, 활동중 심전도(홀터 기록과 사건기록 심전도) 등이 있다. 순환기 질환의 진단에 많은 검사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심전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며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다. 심전도는 정확하고 간단.. 임상 노트/검사종류 2023. 5.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