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노트/감염병관리

감염병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감염증

알엔송다 2023. 4. 16.
반응형

카바페넴내성장 내 세균 속균종(CRE) 감염증

정의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 세균 속균종

전파경로

CRE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와의 직간접 접촉, 오염된 기구나 물품 및 환경표면 등을 통해 전파 가능

사망신고 범위

혈액에서 CRE 감염증이 분리된 사람이, 마지막 양성 혈액 검체 채취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

CRE 감염 위험요인

중환자실 입원력
인공호흡장치 사용력
중심정맥관, 도뇨관 사용력
외과적 상처가 있는 중환자
수술력
CRE 환자 접촉력 등

CRE 감염증 주요 증상

요로감염, 위장관염, 폐렴 패혈증 등 감염부위에 다라 다양한 감염증 유발

CRE 감염증 임상경과

대부분은 단순 보균상태이며 이는 치료의 대상이 아님, CRE로 인해 감염증을 나타내는 경우가 항생제 치료 대상
카바페넴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 여러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어려움

CRE 감염증 감염관리

환자(병원체보유자) 격리

  • 1인실 격리 권고
  • 코호트 격리 가능
코호트 격리란(Cohort isolation)?
일반적으로 접촉주의, 비말주의, 공기주의 환자와 같이 격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 1인실 격리를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하나, 격리 대상의 환자가 많은 경우 원인균, 환자의 상태 및 발생 규모, 병실의 구조 등을 고려한 일정한 원칙에 따라 비슷한 조건의 환자들을 한 병실 또는 한 공간에서 격리를 시행하는 것
  • 표준주의와 접촉주의를 함께 적용
표준주의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처치와 술기, 간호를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지침. 모든 환자에게 처치의 종류, 환자의 진단명 혹은 감염상태와 상관없이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손상된 피부와 점막을 다룰 때 적용. 의료인 스스로를 보호하며 , 환자의 안전을 도모해야 함

접촉주의
접촉으로 전파 가능한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환자나 그 주변 환경과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접촉으로 병원균이 전파되는 경우 표준주의와 함께 적용

손위생

  1. 병원체 보유자를 포함한 환자 접촉 전 · 후
  2. 침습적 시술 시행 전, 체액 분비물 배설물 접촉 후
  3. 환자가 사용한 의료물품이나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4. 분비물을 다룰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
  5. 장갑을 벗은 후에는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을 마찰
의료 관련감염 예방을 위한 가장 손쉽고 비용 효과적인 방법 (’ 09, WHO)이나 인식〮실행 수준은 직종별〮의료기관별 편차가 큼

기구 및 물품관리

  1. 사용한 기구는 재사용 전 소독 또는 멸균 철저히 시행
  2. 가능한 다른 환자와 물품 공용을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 철저한 소독

환경관리 강화

  1. 환자의 주변환경 표면에 대해 정기적으로 소독
  2. 눈에 띄는 오염이 발생한 경우 즉시 소독

CRE 감염증 접촉자 범위 선정

병동

다인실인 경우 동일 병실 우선 시행 권고

중환자실

구역에 상관없이 중환자실 전체 시행 권고

의료 관련감염병 능동감시 방법

다제내성균 능동감시배양은 입원 시 및 특정 위험부서에 입실 시와 재원 중 주기적으로
(예 : 1 회/주) 시행할 수 있다.
능동감시배양 부위 : 피부손상이나 배액 부위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검사를 시행한다.
- VRSA : 비강도말 배양검사
- CRE : 대변, 직장도말 배양검사
- MRSA : 비강도말 배양을 주로 시행. 인후, 기관흡인, 회음부 및 항문주위 검체 추가 가능
- VRE : 대변, 직장도말 또는 항문주의 도말 배양검사
- MRPA/MRAB : 비강, 인후, 창상 또는 직장 도말 배양검사

CPE 감염증 유행관리를 위한 권고사항

CPE 감염증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접촉 자를 최소화시키는 것

CPE 감염증 유행이 발생, 지속될 경우 일시적인 폐쇄로 CPE 감염증 환자와 새로운 환자가 의료진을 통해 접촉할 가능성을 차단

중환자실 및 일반 병동에서 격리실을 담당하는 간호사들의 경우 전담간호사를 배정하는 것을 고려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CPE 감염증 주기적 능동감시 권고

고위험군 선별검사 권고 대상 예시
CPE 집락 및 감염에 대한 과거력이 있는 환자
CPE 감염이 새롭게 확인된 환자와 역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접촉자
최근 CRE 사례가 알려지거나 의심되었던 지역의 기관에 입원력이 있는 환자
CRE 집락 및 감염의 위험이 높은 환자 : 면역저하자, 중환자실 입원환자, 장기이식환자, 혈액 내과 입원환자 등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