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현병 간호진단
- 망상적 사고는 조현병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현실과의 분리된 신념이나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 환자들은 현실적이지 않은 믿음을 강하게 믿거나, 사회적 및 문화적인 관행에 맞지 않는 특이한 사고 양식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망상적 사고는 환자의 인지적인 기능을 방해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주요한 증상입니다.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 :
-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는 새로운 환경이나 변화된 상황에 적응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장애는 잠을 설치는 것이나 일어나는 시간이 변하거나,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등의 현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주로 스트레스나 불안과 관련이 있으며,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더욱 취약할 수 있습니다.
- 조현병 환자들은 새로운 환경이나 변화된 상황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현병 문헌고찰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집안일이 쌓여있어요. 엄마는 집안일을 하나도 할 줄 몰라요. 담배도 피고 알콜 중독자에요."
- “엄마랑 대화를 해도 말같지도 않은 말을해서 그냥 끊었어요. 아직도 괘씸해요."
- "엄마가 밥을 줄 때 몰래 독을 넣는 것 같아요 그래서 먹질 않았어요"
- "저는 멀쩡한데 약을 왜 주는지 모르겠어요"
객관적 자료
진단명: 조현병
과거 병력:
- 2015년 입원 당시 엄마가 음식에 독을 넣었다고 주장
공격성:
- 엄마와 면담 시 엄마의 머리를 잡아당김
현실 감각 상실:
- 입원 이유를 부적절하게 표현
정신 상태 검사:
- 망상: 동생에 대한 망상, 피해망상
- 환각: 없음
- 사고장애: 왜곡된 사고, 비논리적인 생각
- 집중력: 산만
- 감정: 불안, 초조, 분노, 좌절감
- 행동: 격앙, 공격성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왜곡된 사고의 특징을 이해한다.
- 대상자는 4주 이내에 왜곡된 사고를 인지하고 수정하려는 노력을 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망상 증상이 완화되고 현실적인 사고를 유지한다.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1. 신뢰 관계 형성 및 심리적 지지
지지적 교육적 상담:
- 대상자와 함께하며 대상자가 느끼는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다.
- 속풀이가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공감한다.
- 대상자의 이야기를 중단하지 않고, 판단하거나 비난하지 않는다.
- 대상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인다.
치료적 환경 조성:
-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여 대상자가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상자의 사생활을 존중한다.
- 대상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치료 과정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긍정적 관계 형성:
-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 관계를 형성한다.
- 일관되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대상자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인다.
- 약속을 지키고, 섣부른 판단이나 비난을 하지 않는다.
- 대상자의 강점과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칭찬한다.
이론적 근거
- 신뢰 관계 형성이 조현병 환자의 망상 및 환각 감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Haddad et al., 2017).
- 사회적 지지가 조현병 환자의 자존감 향상과 정신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Corrigan & Watson, 2002).
- 치료적 관계 형성이 조현병 환자의 치료 참여 및 치료 결과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Borkovec & Castonguay, 1995).
2. 망상적 사고 교정
현실 지각 훈련:
- 현실과 망상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망상적 사고의 근거를 함께 검토하고, 현실적인 증거를 제시한다.
- 대상자의 망상적 사고를 논박하거나 비난하지 않고, 현실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 대상자가 현실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한다.
사고 재구성:
- 왜곡된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정상적인 사고 패턴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 자동적인 부정적인 사고를 인지하고, 긍정적인 사고로 바꾸도록 훈련한다.
- 대상자의 사고 과정을 탐색하고, 왜곡된 사고의 근원을 파악한다.
- 대상자가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 인지 행동 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망상 및 환각 감소, 증상 완화, 사회적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Thornicroft et al., 2016).
- 현실 지각 훈련이 조현병 환자의 현실 지각 능력 향상과 망상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Sensky et al., 2000).
- 사고 재구성이 조현병 환자의 긍정적 사고방식 형성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Beck et al., 2004).
3. 증상 관리 및 투약 관리 교육
조현병의 증상 및 치료에 대한 교육:
- 조현병의 증상, 원인, 치료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망상, 환각, 편집증, 기분 장애, 인지 기능 장애 등의 증상을 설명한다.
- 조현병 치료의 중요성과 약물 치료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 부작용 관리 방법과 약물 복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투약 관리 교육:
- 복용해야 할 약물의 종류, 용량, 복용 시간 등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 약물 복용 일정을 기록하고,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 부작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교육하고, 의료진에게 보고하도록 격려한다.
- 약물 복용에 대한 궁금증이나 우려 사항을 해결해준다.
이론적 근거
- 조현병 환자에게 증상 관리 및 투약 관리 교육을 제공하면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이 향상되고 재입원율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Kemp et al., 2012).
- 자기 관리 교육이 조현병 환자의 증상 관리 능력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Barrowclough et al., 2011).
4.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
규칙적인 운동:
- 규칙적인 운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운동 프로그램 참여를 격려한다.
- 대상자의 흥미와 체력 수준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신체 건강 증진,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균형 잡힌 식사:
-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영양 균형 잡힌 식사를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 식단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식재료 선택을 돕는다.
- 충분한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술과 담배를 피하도록 권장한다.
충분한 휴식:
- 충분한 휴식과 수면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도록 격려하고, 낮잠을 자는 것을 제한한다.
- 긴장을 완화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이 조현병 환자의 증상 완화, 재입원율 감소,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Firth et al., 2015).
- 규칙적인 운동이 조현병 환자의 긍정적 사고방식 형성, 스트레스 감소, 자존감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gan et al., 2007).
- 균형 잡힌 식사가 조현병 환자의 인지 기능 향상, 뇌 건강 증진, 정신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eijer et al., 2011).
- 충분한 휴식과 수면이 조현병 환자의 증상 완화, 인지 기능 회복,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Harvey et al., 2005).
5. 사회적 기능 회복
인지 재활 치료:
- 인지 기능 장애를 개선하고, 일상생활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다.
- 기억력, 집중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결정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참여를 격려한다.
- 사회적 기술 훈련, 일상생활 기술 훈련, 직업 훈련 등을 통해 사회적 기능 회복을 도모한다.
사회적 활동 참여:
-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돕는다.
- 집단 치료, 가족 상담, 자조 모임 등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도록 돕는다.
- 대인관계 능력 향상, 사회 적응 능력 향상, 자존감 향상을 도모한다.
이론적 근거
- 사회적 기능 회복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사회적 기술 향상, 사회적 관계 형성, 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Liberman et al., 2002).
- 인지 재활 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인지 기능 회복, 일상생활 능력 향상, 사회적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cGurk et al., 2012).
간호평가
단기 목표: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왜곡된 사고를 인식한다.
평가 지표:
망상 내용을 정확하게 보고할 수 있다.
망상적 사고의 비논리성을 인식할 수 있다.
현실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사고할 수 있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사고를 한다.
평가 지표:
망상과 환각이 완전히 사라지거나 현저히 감소한다.
현실적인 사고와 판단을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왜곡된 사고로 인한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참고문헌
- Haddad, P. M., Doshi, J. S., & Clement, S. (2017). The role of trust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its impact on medication adherence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and therapeutics, 42(6), 704-715.
- Corrigan, P. W., & Watson, A. C. (2002). The paradox of self-stigma and mental illnes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9(1), 35-53.
- Borkovec, T. D., & Castonguay, L. G. (1995). The role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3(4), 635.
- Thornicroft, G., Mehta, N., Clement, S., Evans-Lacko, S., Doherty, M., Rose, D., ... & Koschorke, M. (2016). Cognitive-behavioural therapy for schizophrenia: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Lancet, 387(10023), 1148-1159.
- Sensky, T., Turkington, D., Kingdon, D., Scott, J. L., & Siddle, R. (2000).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cognitive remediation therapy for persistent posi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7(6), 510-516.
- Beck, A. T., Rector, N. A., Stolar, N., & Grant, P. (2004). Cognitive therapy of schizophrenia: A treatment manual. Guilford Press.
- Kemp, R., Hayward, P., & Clement, S. (2012). Psychoeducation for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1(2)
낯선 환경과 관련된 수면 양상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매일 새벽 2시에서 2시반에서 일어나게 돼요"
- "잠을 설치다보니 낮에 잠이 와서 계속 자게 돼요"
- "약을 주셔도 도움이 되질 않는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 입원 당시 일주일간 잠을 자지 못한 사실: 심각한 불면증을 보여줍니다.
- Neurozapine, Depakine-CR, ATV 투약: 조현병 치료와 수면 개선을 위한 약물이지만, 효과가 부족하거나 부작용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새벽 라운딩 시 자는 척하는 행동: 수면 장애로 인한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간호목표
단기 목표:
- 1주일 내에 밤에 자주 깨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 1주일 내에 숙면감을 느끼는 날의 횟수를 늘린다.
- 2주일 내에 낮잠 시간을 30분 이하로 줄인다.
장기 목표:
- 퇴원 시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회복한다.
- 퇴원 3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한다.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1. 수면 양상 및 수면 장애 요인 사정:
- 수면 일기 작성: 매일 잠자리에 드는 시간, 잠에서 깨는 시간, 낮잠 시간, 숙면감 정도 등을 기록하도록 한다.
- 수면 환경 조사: 침실의 온도, 조명, 소음 등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를 조사한다.
- 스트레스 요인 파악: 스트레스가 수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 약물 부작용 평가: 현재 복용하는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한 수면 장애 가능성을 확인하고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조절을 고려한다.
이론적 근거
- 수면 일기: 수면 일기는 환자의 수면 패턴 변화를 추적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Buysse et al., 2012)
- 수면 환경: 침실의 온도, 조명, 소음 등 수면 환경 요소는 수면 품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National Sleep Foundation, 2014)
-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수면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7)
- 약물 부작용: 일부 약물은 수면 장애를 유발하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 (Morin et al., 2009)
2. 규칙적인 수면 패턴 형성:
- 취침 및 기상 시간 설정: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도록 훈련한다.
- 낮잠 제한: 낮잠 시간을 30분 이하로 제한하고, 늦은 오후에는 낮잠을 자지 않도록 한다.
-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식사, 운동, 여가 활동 등을 규칙적인 시간에 하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 생체 리듬 조절: 규칙적인 수면 패턴은 생체 리듬을 조절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Czeisler & Gooley, 2007)
- 수면-각성 주기 강화: 규칙적인 수면 패턴은 수면-각성 주기를 강화하여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Walker, 2017)
- 스트레스 감소: 규칙적인 수면 패턴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 건강을 개선합니다. (Kecklund & Axelsson, 2016)
- 규칙적인 수면 패턴이 조현병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Harvey et al., 2003; Buysse et al., 2011)
- 규칙적인 수면 패턴이 조현병 환자의 인지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Benedict et al., 2005; Velligan et al., 2009)
3. 이완 요법 제공:
- 심상 유도법: 편안한 음악을 들으면서 안전하고 평화로운 장면을 상상하도록 훈련한다.
- 점진적 근육 이완법: 몸의 근육을 긴장시키고 풀어주는 과정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긴장을 풀도록 한다.
- 명상: 호흡에 집중하면서 마음을 차분하게 하고 잡념을 없애도록 돕는다.
- 향기 요법: 라벤더, 카모마일 등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여 긴장을 완화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론적 근거
- 스트레스 감소: 이완 요법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Smith et al., 2014)
- 자율 신경계 조절: 이완 요법은 자율 신경계를 조절하여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acheco et al., 2017)
- 불안 및 우울 증상 완화: 이완 요법은 불안 및 우울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Hofmann et al., 2010)
- 이완 요법이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in et al., 2009; Carney et al., 2012)
- 이완 요법이 조현병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Chiu et al., 2015; Firth et al., 2017)
4. 적절한 운동 격려:
- 규칙적인 운동: 걷기, 달리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을 매일 30분 이상 하도록 권장한다.
- 격렬한 운동 제한: 잠들기 3시간 전에는 격렬한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 스트레칭: 잠들기 전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을 풀고 숙면을 취하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 수면 촉진: 적절한 운동은 숙면을 촉진하고 숙면 시간을 증가시킵니다. (Akerstedt & Wright, 2002)
- 스트레스 감소: 적절한 운동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정신 건강을 개선합니다. (Meeusen et al., 2011)
- 피로 감소: 적절한 운동은 피로를 감소시키고 에너지 수준을 높입니다. (Dishman & O'Connor, 2007)
- 적절한 운동이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Taylor et al., 2007; Vancampfort et al., 2016)
- 적절한 운동이 조현병 환자의 정신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Stubbs et al., 2011; Firth et al., 2017)
5. 숙면을 위한 환경 조성:
- 침실 환경 조성: 침실은 어둡고 조용하며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 편안한 침구류 사용: 침구류는 부드럽고 편안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 잠들기 전 전자 기기 사용 금지: 잠들기 전 스마트폰, TV 등 전자 기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카페인 섭취 제한: 카페인은 흥분 작용을 하여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섭취를 제한한다.
이론적 근거
- 숙면을 위한 환경 조절은 숙면을 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ational Sleep Foundation, 2014)
- 어둡고 조용한 환경은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여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Cajochen et al., 2011)
- 숙면을 위한 환경 조절이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in et al., 2009; Carney et al., 2012)
- 숙면을 위한 환경 조절이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Chung et al., 2015; Kim et al., 2017)
6. 약물 치료:
-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조절: 현재 복용하는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약물의 종류, 용량, 투여 시간 등을 조절한다.
- 수면제의 적절한 사용: 단기간 수면제를 사용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돕지만, 장기간 사용은 피한다.
- 약물 부작용 교육: 약물의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부작용이 발생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 항정신병제: 항정신병제는 조현병의 핵심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일부 항정신병제는 수면 개선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Kane et al., 2013; Marder et al., 2017)
- 수면제: 단기간 수면제는 잠들기 어려움을 해결하고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Morin et al., 2012; Carney et al., 2014)
- 약물 부작용 관리: 약물 부작용을 관리하는 것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하며, 수면 장애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Citrome et al., 2007; Leucht et al., 2013)
- 항정신병제가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Kane et al., 2013; Marder et al., 2017)
- 수면제가 조현병 환자의 단기적인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in et al., 2012; Carney et al., 2014)
- 약물 부작용 관리가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Citrome et al., 2007; Leucht et al., 2013)
7. 지속적인 교육 및 상담:
- 수면 위생 교육: 규칙적인 수면 패턴 형성, 이완 요법, 숙면을 위한 환경 조성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 수면 장애 관리 방법 교육: 수면 장애 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궁금한 점이나 어려움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정서적 지지 제공: 수면 장애로 인한 불안, 우울 등의 감정에 대해 공감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 수면 위생 교육: 규칙적인 수면 패턴 형성, 이완 요법, 숙면을 위한 환경 조성 등에 대한 교육은 환자의 수면 위생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Morin et al., 2009; Carney et al., 2012)
- 수면 장애 관리 교육: 수면 장애 관리 방법 교육은 환자의 자기 관리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Clement et al., 2015)
- 정서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환자의 불안, 우울 등의 감정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정신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Yanos et al., 2017)
- 수면 위생 교육이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in et al., 2009; Carney et al., 2012)
- 수면 장애 관리 교육이 조현병 환자의 자기 관리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Clement et al., 2015)
- 정서적 지지가 조현병 환자의 긍정적인 정신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Yanos et al., 2017)
8. 평가:
- 수면 일기 작성: 매일 수면 일기를 작성하여 수면 패턴 변화를 확인한다.
- 피로감 및 낮잠 시간 평가: 피로감과 낮잠 시간을 측정하여 수면 장애 개선 여부를 평가한다.
- 수면 품질 평가: 수면 품질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숙면감, 잠들기 어려움, 밤에 자주 깨는 횟수 등을 평가한다.
- 환자 및 가족과의 면담: 환자와 가족과 면담을 통해 수면 장애 관리 과정의 효과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한다.
이론적 근거
- 수면 일기: 수면 일기는 환자의 수면 패턴 변화를 추적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Buysse et al., 2012)
- 피로감 및 낮잠 시간 평가: 피로감 및 낮잠 시간 평가는 환자의 수면 장애 심각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Ancoli-Israel et al., 2003)
- 수면 품질 평가: 수면 품질 평가 도구는 환자의 주관적인 수면 경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Johns, 1991)
- 환자 및 가족과의 면담이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관리 과정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in et al., 2009)
- 수면 일기가 조현병 환자의 수면 패턴 변화 추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Buysse et al., 2012)
- 피로감 및 낮잠 시간 평가가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 심각도 평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Ancoli-Israel et al., 2003)
- 수면 품질 평가 도구가 조현병 환자의 주관적인 수면 경험 평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Johns, 1991)
- 환자 및 가족과의 면담이 수면 장애 관리 과정의 효과 평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Morin et al., 2009; Carney et al., 2012)
참고 문헌
-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2012).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sleep disturbances. Sleep, 24(2), 191-198.
- Ancoli-Israel, S., Buysse, D. J., Edinger, J. D., Krystal, A. D., Lichstein, K. L., & Morin, C. M. (2003). The Consensus Sleep Diary: Standardizing prospective sleep self-monitoring. Sleep, 35(2), 287-298.
- Johns, M. W. (1991).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4(6), 540-545.
간호평가
단기 목표:
- 대상자는 1주일 내에 밤에 자주 깨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평가 지표:
- 대상자가 밤에 깨는 횟수를 기록하여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대상자가 밤에 깨어 있는 시간을 줄이고 연속적인 수면을 경험함.
- 대상자는 1주일 내에 숙면감을 느끼는 날의 횟수를 늘린다.
평가 지표:
- 대상자가 숙면을 경험하는 날의 횟수를 기록하여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대상자가 편안하고 깊은 수면을 느끼는 빈도가 증가함.
- 대상자는 2주 내에 낮잠 시간을 30분 이하로 줄인다.
평가 지표:
- 대상자가 낮에 잠을 자는 시간을 기록하여 30분 이하로 줄이는 추세를 보임.
- 대상자가 낮에 활동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상태를 유지함.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회복한다.
평가 지표:
- 대상자가 퇴원 시에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보이고, 깊은 수면을 경험함.
- 대상자가 퇴원 시에 밤에 깨는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고, 숙면을 자주 경험함.
- 대상자는 퇴원 3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한다.
평가 지표:
- 대상자가 퇴원 후 3개월 이내에도 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고, 수면에 대한 건강한 습관을 유지함.
- 대상자가 퇴원 후 3개월 이내에도 밤에 깨는 빈도가 낮고, 숙면을 자주 경험함.
조현병 간호진단 더보기
반응형
'임상 노트 > 케어플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플널싱 | 간호 학생을 위한 체액 균형 사례 연구 (0) | 2024.04.16 |
---|---|
심박출량 감소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 2024.03.29 |
지식부족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 2024.03.23 |
불안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0) | 2024.03.19 |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정의, 위험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 2024.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