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노트/케어플랜

불안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storytaler 2024. 3. 19.
반응형

불안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불안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불안 간호진단

정의

불안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불안 정의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막연하고 편안하지 않은 불편감이나 공포감(원인은 개인에게 불특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음), 예상되는 위험에 의해 유발되는 염려스러움, 곧 닥칠 위험을 경고하고 개인이 그 위협을 해결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경고 신호

관련요인

  • 삶의 목표에 대한 갈등
  • 대인간 전승
  • 통증
  • 스트레스원
  • 물질 남용
  • 낯선 상황
  • 충족되지 않은 욕구
  • 가치에 대한 갈등 

불안 간호진단 예시

  • 수술과 관련된 불안
    - 수술 : 스트레스원
  • 통증과 관련된 불안
  • 낯선 상황과 관련된 불안

불안 간호목표

장기 목표

환자는 입원 기간 동안 불안으로부터 완화되고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회복합니다.

 

단기 목표:

  • 환자가 2시간 이내에 불안 점수가 3점 이하로 감소된다.
  • 환자는 6시간 이내에 불안으로 인한 불면증, 식욕 저하,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감소했다고 표현한다.
  • 환자는 퇴원 전에 불안 관리 방법을 3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환자는 8시간 이내에 불안 완화를 위한 비약물적 방법을 2가지 이상 적용한다.
  • 환자가 4시간 이내에 처방된 항불안제를 적절하게 복용한다.

불안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환자 불안 사정 및 평가 

  • 2시간마다 Hamilton 불안 척도(HAM-A) 등을 사용하여 불안 점수를 측정하고 불안의 양상, 유발 요인, 악화 요인 등을 상세하게 사정한다.
  • 환자의 표정, 몸짓, 행동, 생리적 변화 등을 통해 불안의 심각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 환자의 문화적 배경, 가치관, 불안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하여 불안 사정을 수행한다.
이론적 근거
  • 불안 평가는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Spielberger, 1966)
  • 불안은 주관적인 경험이며, 환자의 보고가 가장 중요합니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 다양한 불안 평가 도구를 활용하면 환자의 불안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6)
  • 환자의 개인적, 문화적 요인을 고려한 불안 관리가 중요합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항불안제 투여

  • 의사 처방에 따라 항불안제를 정확한 시간에 적절한 용량으로 투여하고, 투여 후 30분 동안 불안 완화 효과를 관찰한다.
  • 환자의 불안 수준, 약물 부작용, 개인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항불안제 투여 계획을 개별적으로 조정한다.
  • 환자에게 항불안제의 작용 메커니즘, 용량, 복용 방법, 부작용 등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 약물 치료는 불안 관리의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 항불안제는 불안 신경 전달 물질의 작용을 차단하여 불안을 완화합니다. (Rang & Dale, 2007)
  • 환자 교육은 약물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예방하는데 중요합니다.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3)

비약물적 방법을 통한 불안 완화 중재 

  •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심호흡, 명상, 음악 감상, 독서, 운동, 요가 등 다양한 비약물적 방법을 적용한다.
  • 환자에게 각 방법의 원리, 효과, 사용 방법 등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스스로 실천하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 비약물 치료는 약물 치료의 부작용을 줄이고 불안 관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McCaffery & Pasero, 1999)
  • 이완 기법은 불안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입니다. (Astin, 2000)
  • 운동은 엔돌핀 분비를 촉진하고 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입니다. (Craft & Perna, 2004)
  • 환자 교육은 불안 증상 감소와 불안 관리 능력 향상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Kisely et al., 2013)

 

환자 교육

  • 불안의 원인, 증상, 관리 방법, 항불안제 사용법, 합병증 예방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 환자와 가족이 불안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 자료, 시각 자료 등을 활용한다.
이론적 근거
  • 환자 교육은 환자의 불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Lorig & Holman, 2003)
  • 환자와 가족의 참여는 불안 관리의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Fallowfield & Jenkins, 2004)
  • 교육 자료 및 시각 자료는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6)

환경 조성

  • 조용하고 어둡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여 환자의 휴식과 숙면을 도모한다.
  • 침대 위치, 조명, 온도, 소음 등을 환자의 요구에 맞게 조절하고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이론적 근거
  • 편안한 환경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휴식을 촉진합니다. (Ulrich, 1984)
  • 환자의 요구에 맞게 환경을 조절하는 것은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3)

심리적 지원

  • 환자의 불안, 우울, 두려움 등의 심리적 상태를 사정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 환자에게 공감하고 지지하며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 환자에게 심리 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필요 시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이론적 근거
  • 심리적 지원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7)
  • 공감과 지지는 환자의 불안을 줄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Rogers, 1959)
  • 심리 상담 및 치료는 심각한 불안감을 가진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6)

참고 문헌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7). The practice of psychology: A scientist-practitioner approach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Astin, J. A. (2000). Why patients u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4(18), 2353-2358.
  • Craft, L. L., & Perna, F. M. (2004). The benefits of exercise for the clinically anxious patient: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10(2), 122-132.
  • Fallowfield, L., & Jenkins, V. (2004). Communicating with cancer patient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 Lorig, K. R., & Holman, H. (2003). Self-management education: History, definition, and outcom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0(2), 177-185.
  • McCaffery, M., & Pasero, C. (1999). Pain: Clinical manual (3rd ed.). St. Louis, MO: Mosby.
  •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6). Anxiety disorders. Retrieved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6). Panic disorder. Retrieved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