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노트

RN NOTE | 노인간호학 <치매노인간호>

알엔송다 2023. 6. 7.
반응형

치매노인간호

 1) 간호사가 가져야할 태도

  1. 치매노인은 건망 등이나 지남력 장애로 일상생활을 잘 영위할 수 없고, 적절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이상행동을 보이므로 부정, 설득, 지도보다는 가정적인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보호적, 수용적, 지지적으로 돌보아야 한다. 
  2. 상태가 나타나는 정도가 다르고 항상 무엇이던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부드럽게 대하여야한다.
  3. 치매노인이 나타내는 행동 때문에 간호사가 나타내는 행동이 직접 대응이 될 수 있으므    로 자존심을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간호 시 주의할 점

  1.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힘들어하여 혼란 상태나 치매가 더 악화될 수도 있으므로 갑자기 환경을 바꾸지 않는다.
  2. 한번에 여러 가지 정보를 주지 말고, 간결하고 정확하게 이야기한다.
  3. 대화시 거리는 1미터 이내여야 하고, 고도의 치매상태인 때는 의사소통이 잘 안되므로 손    을 잡거나 미소를 띄우는 등의 비 언어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4. 치매노인이 이해할 수 있는 말을 사용한다.(예: “소변 보세요”보다는 “오줌 누세요”)
  5. 밤에 잘 자도록 하며, 시간의 혼돈을 줄이기 위하여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한다.
  6. 잔존기능을 활용한다. 그대로 방치해두면 무료하게 지내거나 문제 행동을 하므로 습관적으로 해오던 일이나 간단한 일을 하면 자극이 될 수 있다. (예: 청소, 빨래개기, 잡초 뽑기 등)
  7. 달력을 사용하여 현실을 알린다. 지남력장애로 인하여 밤을 낮이라 하거나 식구를 도둑이라 할 때 직접 대면하지 말고 일단 받아준 후 현실을 일깨워준다.
  8. 치매노인은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므로 회상을 통해 적응하게 하고 안정감을  얻게하고 자신을 알게 한다.
  9. 치매는 신체적, 심리적 압박이 있을 때 (예를 들면 큰 수술이나 배우자와의 사별 등) 상태가 심해지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3) 치매를 암시하는 증상 (MMSE-K 참조)

  1. 방금 들은 이야기를 기억하지 못해 다시 묻는다.
  2.  주소나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한다.
  3. 100에서 7씩 빼는 셈을 못해 중간에서 틀린다.
  4. ‘대한민국, 우리나라’ 등의 특정문구를 거꾸로 말하지 못한다.
  5. ‘간장 공장 공장장’ 등 특정문구를 거꾸로 제대로 발음하지 못한다.
  6. 한손으로 종이를 접어 무릎 위에 올려놓는 등 세밀한 동작을 못한다.
  7. 세가지 물건을 말한 뒤 3분 후 반복하지 못한다.
  8. 오늘이 몇월 며칠 무슨 요일인지 대답하지 못한다.
  9. 자신이 살고 있는 주소를 구와 동까지 대답하지 못한다.
  10. 현재 있는 곳이 어디인지 알지 못한다.

4) 치매환자 선별법

  1. 오늘이 며칠입니까?
  2. 오늘이 무슨 요일입니까?
  3. 여기가 어디입니까?
  4. 집 전화번호가 몇 번입니까?
  5. 연세는 얼마입니까?
  6. 몇 년에 태어났습니까?
  7. 현재 우리나라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8. 지난번 대통령은 누구였습니까?
  9. 어머니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10. 20에서 3을 빼 보십시오.

* 이상의 질문 중 7개 이상을 맞추지 못하면 치매를 의심한다.

섬망, 치매, 우울의 비교

  섬망 치매(초기, 중기) 우울
발병 급성/아급성 원인에 따름
어스름하거나 어두울 때 빈번
만성, 일반적으로 잠행적원인에 따름 주요생활의 변화와 일치
종종 갑작스러운 발병
과정 단기적, 증상에 주야 기복이 있으며, 밤이나 어두움, 기상시에 심함 장기적, 주야의 기복이 없다.증상은 진행되나 시간에 따른 변화에는 비교적 안정적이다. 주야의 영향, 특히 아침에 악화, 상황에 따른 기복, 그러나 섬망보다는 심하지 않다.
진행 갑작스러움 서서히, 변덕스러움 다양함, 빠르거나
서서히, 변덕스럽지 않음
기간 몇 시간~1개월 이내, 길지않다 몇 개월~몇년 적어도 6주, 몇개월~몇 년
각성 감소 뚜렷 뚜렷
기민성 변동, 기면 혹은 지나친 경계 일반적으로 정상 정상
주의집중 손상, 변동 일반적으로 정상 최소한의 손상, 그러나 쉽게 산만해짐
지남력 손상, 아주 다양 일반적으로 정상 선택적, 부분적 손상
기억 일반적으로 손상 최근 단기 손상 선택적, 부분적 손상
사고 비조직적, 왜곡, 단편적, 불일치, 느리거나 지나치게 빠른사고 진행 추상적 사고의 어려움, 사고빈약, 판단손상, 단어를 찾아내기 힘듦 손상되지 않음, 그러나 절망, 무기력, 자기비하
지각 왜곡, 착각, 환각, 망상, 현실과 잘못된 지각 사이의 구분이 어려움 보통은 잘못 지각하지 않음 손상되지 않음,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망상과 환상 없음
정신운동성 행동 다양, 운동성저하, 운동성과다, 혼합 정상, 실행증 다양, 정신운동 지연, 동요
수면
주기
장애 단편적 장애, 보통 이른 아침에 기상
동반되

특징
다양한 감정변화, 자율적인 과다 각성증상, 급성 신체질환과 동반 감정은 피상적, 부적절, 기복이 있다. 지적결핍, 인격변화, 실어증, 실인증이 있을 수 있지만 숨기려 한다. 우울감정, 불쾌감, 불평, 사고적인 생각에 몰두, 통찰력 있음, 말하기 힘듦
사정 과제에 집중 못함, 수많은 실수 가족이 지적하는 실패, 잦은 오답 검사에 갈등, 적절한 대답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 수행한 것에 대한 회환을 자주 요구 가족이 지적하는 실패, “잘 모르겠다”는 대답을 자주함, 노력하지 않고 자주포기, 검사는 어려워하지 않으나 답을 찾으려 하지 않음.

마비환자의 체위변경

 의식이 있으며 편측(왼쪽)의 허약감(weakness)이 있는 노인의 체위변경
⓵ 대상자를 침상위쪽으로 옮긴 후 -> ⓶ 침상가장 자리로 옮기고 -> ⓷ 체위를 앙와위에서 측위로 변경시킨다. (연속 순서로 진행된다.)

1) 대상자를 침상 위쪽으로 올리기

  1. 대상자에게 체위변경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2. 침상이 수평으로 되어 있나 확인한 후 베개를 빼서 침상머리 쪽으로 옮긴다.
  3. 대상자에게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침상 면에 대게하고 협조가 가능하면 대상자의 양팔을 쭉 펴서 머리 쪽의 난간을 잡게 한다.
  4. 침상 머리 쪽을 바라보며 어깨 넓이로 양 발을 벌려 한 발을 약간 앞 쪽에 놓고 무릎과 둔부를 구부린다.
  5. 한쪽 팔은 대상자의 어깨 밑에, 나머지 한 팔은 대상자의 무릎 밑에 놓는다.
  6. 뒤에 놓인 다리에서 앞에 놓은 다리로 체중을 이동시키면서 대상자를 침대 위로 올린다.

2) 대상자를 침상 가장 자리로 옮기기

  1. 상자의 머리와 어깨 밑에 한 팔을 넣고 다른 팔은 등 밑에 넣어 간호사 쪽으로 대상자를 당긴다. 이 때 간호사는 체중을 앞 쪽 발에서 뒤쪽 발로 옮긴다.
  2. 대상자의 허리와 무릎 밑에 간호사의 팔을 넣어 하체를 끌어와 신체선열을 유지시킨다.

2) 대상자의 체위를 앙와위에서 측위로 변경시키기

  1. 대상자의 양팔을 가슴에 올려놓고 간호사와 가까운 쪽 대상자의 다리를 먼 쪽 다리 위에 놓는다.
  2. 대상자를 가장 자리로 옮긴 쪽의 침상 난간을 올린 후 반대편 침상쪽으로 간다.
  3. 어깨넓이로 양 발을 벌려 한 발을 약간 앞쪽에 놓고 무릎과 둔부를 구부린다.
  4. 손을 대상자의 먼 쪽 어깨와 둔부에 놓고, 뒷발 쪽으로 체중을 이동하여 자세를 낮추면서 간호사 쪽으로 대상자의 몸을 돌린다.
  5. 아래에 놓인 어깨가 뒤로 빠지지 않도록 약간 앞으로 내어주고 위로 놓인 팔 아래에 베개를 넣어 지지해 준다.
  6. 위에 놓인 다리를 약간 구부려주고 다리사이에는 베개를 넣어준다.

보행기 이용 환자의 안전한 보행 방법

 심각한 병리적 상황이 없는 쇠약한 노인의 보행을 보조하는 상황 (앞바퀴가 있는 네발 보행기 사용)
앞바퀴 있는 네발 보행기
  내용
1) 대상자에게 보행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2) 안전보행을 위해 전신허약, 피로, 인지적 혼돈 등 신체 및 정신상태를 사정한다.
3) 한손을 대상자의 견갑골 사이에 놓고 다른 손은 침상 면을 밀면서 대상자가 천천히 앉도록 돕는다.
4) 균형을 잡을 때 까지 앉아 있게 한 후 침상 가에 걸터앉아 양쪽 다리를 2-3번 흔들게 한다.
5) 두 팔로 대상자의 허리를 감싸 지지하고 노인의 팔을 간호사의 어깨에 올리도록 한다.
6) 대상자가 설 때 간호사는 앞쪽의 다리를 버팀목으로 하여 대상자의 무릎을 지지하여 서는 것을 돕고 균형을 유지하게 한다.
7) 대상자의 곁에 서서 한쪽 팔로는 안정되게 노인의 허리를 감싸잡아 지지해주고 다른쪽 팔로는 손을 잡고 인도한다.
8) 가능한 허리를 편 자세를 유지하면서 똑바로 앞을 보면서 걷도록 한다.
9) 발을 질질 끌지 말고 발을 들어 걸음을 옮겨 보행기 쪽으로 안전하게 가도록 돕는다.(약 1미터 정도)
10) 대상자가 보행기의 앞쪽에 서서 보행기의 양쪽 옆의 손잡이를 잡게 한다.
11) 바닥에 보행기의 네 발이 모두 안정되게 닿아 있을 때 보행기 안으로 몸이 들어가도록 한다.
12) 바닥에 보행기의 네 발이 모두 닿는 것을 확인하면서 보행기를 앞으로 15cm 정도 밀어 이동하게 한다.
13) 한 발을 들어 앞으로 15cm 정도 걸음을 옮기고 그 발까지 나머지 발을 들어 옮기도록 한다.(약 3-4 걸음 정도 걷기)

참고문헌

김정희, 김남초, 임영미 (2002) 치매노인가족의 적응프로그램 개발. 건강증진기금 연구보고서
Jordan, F., Bayes, J., McLaren, M., Tippett, V., & Davison, B. (1994). Better care for people with Alzheimer's. (1994). Queensland, Bookmark Publish.
Judd, S. Marshall, M., & Phippen, P. (1998) Design for dementia. London, Journal of Dementia Care.
Mace, N.L. & Rabins, P.V. (1999). The 36-Hour Day. 3rd edition.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Rader, J. (1995). Assess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 J. Rader & E.M. Tornquist (editors). Individualized dementia car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Tappen, R.M. (1997). Interventions for Alzheimer's disease. Sydney, Health Professions Press, Inc.

추가적인 간호 관련 글

 

송데이미 - 간호학생, 간호사를 위한 블로그

간호학생, 간호사를 위한 블로그

songday.me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