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박출량 감소 간호진단 : Decreased Cardiac Output
정의
신체의 대사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심장으로부터 박출되는 혈액량이 감소한 상태
관련요인
- 심박수의 변화
- 심장 리듬의 변화
- 후부하의 변화
- 수축력의 변화
- 전부하의 변화
- 1회 박출량의 변화
간호진단 예시
- 심근 수축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 심장기능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목표
장기 목표
환자는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증상이 완화되고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회복합니다.
단기 목표:
- 환자는 2시간 이내에 심박수가 100회/분 이하로 감소합니다.
- 환자는 4시간 이내에 호흡곤란, 피로,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감소되었다고 표현합니다.
- 환자는 8시간 이내에 심박출량 증진을 위한 자가 관리 방법을 2가지 이상 적용합니다.
- 환자는 퇴원 전에 심박출량 감소의 원인, 증상,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1. 심박수 및 혈압 모니터링
- 5분마다 심박수 및 혈압을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 심박수 및 혈압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이상징후를 감시합니다.
- 환자의 활동, 체위, 통증 등이 심박수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합니다.
이론적 근거:
- 심박수 및 혈압은 심장 기능과 순환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Guyton & Hall, 2011)
-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심박출량 감소의 악화를 조기에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1)
2. 심박출량 증진
- 환자의 상태에 맞는 체위를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예: Fowler's position)
- 하지 운동을 돕습니다. (예: 양말 착용, 하지 굴곡 운동)
- 충분한 수분 섭취를 촉진합니다. (목표: 2000ml/일)
- 필요시 의사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합니다. (예: 비강 캐뉼러를 통한 산소 제공, 산소 마스크 착용)
이론적 근거:
- 적절한 체위는 심장의 전하량을 증가시키고 심박출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orth, 2011)
- 하지 운동은 정맥 순환을 개선하고 심장으로의 혈액 유입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0)
- 충분한 수분 섭취는 혈액량을 유지하고 심장 박동을 촉진합니다.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0)
- 산소 공급은 심근의 산소 소비를 증가시키고 심박출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Guyton & Hall, 2011)
3. 증상 관리
- 호흡곤란, 피로,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사정하고 기록합니다.
-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 조성을 합니다. (예: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 조성)
- 환자에게 심호흡, 기침, 자세 변경 등의 방법을 교육합니다.
- 필요에 따라 진통제, 진정제, 항불안제 등을 처방받아 투여합니다.
이론적 근거:
- 증상 관리를 통해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McCaffery & Pasero, 1999)
- 환자 교육은 증상 관리에 대한 환자의 참여를 높이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 약물 치료는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환자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Rang & Dale, 2007)
4. 환자 교육
- 심박출량 감소의 원인, 증상, 관리 방법 등에 대해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합니다.
- 심박출량 증진을 위한 생활 방식 개선 방법 (예: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금연, 금주) 등을 교육합니다.
- 약물 치료의 중요성, 복용 방법, 부작용 등에 대해 교육합니다.
- 위급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 (예: 심박수 증가, 호흡곤란, 어지러움) 등을 교육합니다.
- 환자의 질문에 답하고 궁금증을 해소합니다.
- 교육 내용을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재교육을 실시합니다.
이론적 근거:
- 환자 교육은 심박출량 감소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재발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0)
- 환자와 가족의 참여는 치료 과정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 이해하기 쉬운 교육 자료 (예: 그림, 영상, 책자) 활용은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3)
5. 환경 조성
- 조용하고 어둡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여 환자의 휴식과 숙면을 도모합니다.
-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예: 소음 감소, 빛 조절, 온도 조절)
- 환자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예: 침대 난간 설치, 미끄럼 방지)
이론적 근거:
- 편안한 환경은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쾌적한 휴식을 제공합니다. (McCaffery & Pasero, 1999)
- 충분한 휴식과 숙면은 심장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Guyton & Hall, 2011)
6. 심리적 지원
- 환자의 불안, 우울, 두려움 등의 심리적 상태를 사정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환자에게 공감하고 지지하며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 필요시 심리 상담이나 정신과 치료를 연결해 줍니다.
이론적 근거:
- 심리적 지원은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Astin, 2000)
-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치료 과정에 대한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합니다. (Phelps, 2004)
7. 지속적인 평가 및 개선
-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간호 계획을 개선합니다.
- 환자의 증상 변화, 치료 효과, 환자 교육 수준 등을 평가합니다.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목표, 중재, 교육 내용 등을 수정합니다.
이론적 근거:
- 지속적인 평가는 간호 과정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효과적인 간호 제공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1)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계획을 개선함으로써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3)
반응형
'임상 노트 > 케어플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플널싱 | 간호 학생을 위한 체액 균형 사례 연구 (0) | 2024.04.16 |
---|---|
조현병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 2024.03.30 |
지식부족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 2024.03.23 |
불안 간호진단 [정의, 관련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0) | 2024.03.19 |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정의, 위험요인,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 2024.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