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노트/케어플랜

모성간호 | 월경장애<월경과다, 기능성 자궁출혈, 흡인소파술>문헌고찰

알엔송다 2023. 6. 24.
반응형

월경과다 (Menorrhagia) 

1. 정의

  • 월경량이 지나치게 많은 월경 중 하나
  • 월경이 7~8일 이상 지속되고, 80~100ml 이상의 다량의 실혈
  • 빈도는 건강한 여성의 15~20% 발생

2. 증상

  • 월경량이 너무 많음 → 일상생활에 지장을 줌
  •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지만, 월경기간 중 피가 덩어리로 나옴
  • 월경량이 많아지면서 어지럽거나 피곤한 증상

3. 원인

  •  월경 주기는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등의 호르몬에 의해 조절
  • 이런 호르몬 분비의 균형 깨질 시 → 다량주기(Heavy Periods) or 주기사이의 출혈 나타날 수 있음
호르몬 불균형 10대와 폐경기가 가까운 여성의 호르몬 변화 
당뇨
갑상선 질환
비만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식욕부진(식사장애)
자궁
성장 유형
섬유화 : 자궁 내 또는 자궁 근처 양성 성장
폴립 :  자궁 내벽에 부착되어 성장하고, 자궁강 안쪽으로 돌출
자궁선근증 : 보통 자궁에 있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의 근육벽 안쪽으로 성장
자궁내막증 : 자궁 안쪽에 덧대어 있는 조직이 자궁 밖으로 성장
자궁내막암 : 자궁내막의 세포 성장을 억제할 수 없음
과다형성 : 자궁 비대를 일으킬 수 있는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

4. 진단

  • 초음파 검사 & 내진 → 자궁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함
  • 빈혈검사 → 실제 빈혈이 와있는지 확인
  • 필요 시 혈액응고장애 여부 보기 위한 혈액응고 검사 수행
  • 자궁경 검사 통해 자궁의 내부 확인, 비정상적 부분 있을 시 → 조직검사 시행
  • 자궁내막 질환 의심 시 자궁내막조직검사 시행

5. 치료

  • 젊은 여성의 경우, 지나친 혈액손실 없을 시 → 치료할 필요 없음
  • 하지만, 갱년기의 출혈은 암이나 다른 병적 상태 의미 → 빠른 시일 내에 치료 필요
호르몬 치료
  • 프로게스테론, 먹는 피임약 등과 같은 호르몬 복용 → 월경기간 조정
  • 자궁내막(월경기간에 출혈이 발생하는 자궁 내층)의 부기나 과다한 자궁조직(이식편)이 제한될 수 있음
  • 수술 전 또는 후, 수술 대용으로 이용 가능
수 술


자궁내막 제거술
  • 과다월경 완화하거나 월경기간 중단하기 위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궁 내막을 파괴
  • 보통 외래 환자 대상으로 하며, 임신 원하는 대상자에게는 권장하지 않음 
자궁 제거술
  • 환자 상태 따라 난관, 난소 및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성장 조직도 제거 가능
  • 기존의 개복술 또는 복강경수술을 이용해 시술 가능
  • 개복술은 복부를 길게 절개 → 커다란 신체 외상 남기며, 회복기간 역시 김

기능성 자궁출혈(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1. 정의

  • 정상적인 생리주기에서 벗어난 비정상적인 출혈
  • 기질적 병변과 관계없이, 주로 내분비 장애에 의한 자궁내막 주의의 변화로 발생되는 비정상 자궁출혈
  • 자궁 혹은 질의 해부학적 병변이나 문제 없이, 자궁 내막으로부터 비정상 출혈 하는 경우를 말하며, 대부분의 경우 난소기능 이상 또는 무배란과 관련 

2. 증상

  • 정상적인 생리주기나 양을 넘어서는 경우이므로, 출혈량이 많을 경우 빈혈, 어지럼증, 가슴 두근거림, 맥박수 증가, 기절, 창백한 피부, 오심 및 구토 나타날 수 있음

3. 원인

① 정상적인 임신도 초기에도 약간의 출혈

② 유산기가 있는 경우

③ 자궁외 임신 등 비정상적인 임신

④ 경구 피임제의 복용, 인삼이나 한약의 복용 에스트로겐 활성도에 영향

  ▲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의 용종, 콘딜로마, 헤르페스, 자궁내막증식증,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으로 인해 출혈 발생

4. 진단

① 자궁암검사, 자궁내막검사, 초음파검사, 혈액검사 등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시행

② 자세한 병력과 정밀한 내진을 시행

③ 출혈의 양상, 월경력, 출혈과 동반된 골반통 유무, 배란이나 임신의 증상, 출혈성 경향 여부 확인

④ 호르몬제제 사용여부, 스트레스 여부, 혈액 손실의 정도, 혈액이나 내분비 질환 등 전신 질환의 소견

5. 치료

① 원인(규명)을 찾아 출혈을 억제하고 재발을 방지함.

② 원인 질환이 없는 기능성 자궁출혈 → 호르몬 균형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생리가 이루어지도록     호르몬 요법 시행함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하여 생리양 감소)

③ 자궁내막에 자궁근종이나 용종이 있는 경우 → 내시경적 방법으로 제거함

④ 자궁 내 장치 등을 이용하여 출혈 조절

⑤ 자궁절제 → 가장 마지막 치료 방법, 호르몬 치료 효과가 없거나 심한 출혈을 하는 경우 시행함

 ▲ 방법의 결정은 환자의 증상, 심한 정도, 연령 및 임신을 향후 원하는지 등이 모두 고려

6. 간호

  • 자궁내막의 상태가 증식증이라면, 증식증 치료에 중점을 둠 → 자궁내막 소파술 (진단/치료적 목적)
  • 지속적으로 배란이 없는 경우 → 무배란 자체가 불임의 원인, 배란유도(클로미펜) 통해 규칙적인 월경주기를 유도함. (배란억제 / 경구피임제)

흡인소파술 (Suction curettage)

원인이 없을 시, 지혈의 목적으로 흡인소파술 시행

태반겸자에 의한 인공중절수술은 사고가 생기기 쉬우므로 자궁내용을 흡인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흡인수술의 용구는 크게 나누어서 1/8마력의 전기 모터와 병 및 취관으로 이루어진다. 취관은 경관확장기의 12, 14호와 같은 굵기의 3개가 1조가 되고 선단은 긴축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단되어 안쪽으로 둔하게 되어있다. 또 선단에서 7cm에 눈금이 있고 또 1cm간격으로 10cm까지 눈금이 있으며, 그리고 1cm간격으로 10cm까지 눈금이 있다. 이에 따른 소파는 취관을 조용히 경관 내에 7cm까지 삽입, 스위치를 넣고 흡인을 개시해 회전시키면서 내용을 흡인 배제한다.

▲ 이 방법은 출혈이 적고 유산도 없으며, 손상도 적다고 한다. 소용시간도 짧고 기저막의 손상도 적은데 조작을 잘못하면 공기색전이 생기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제7판 모성간호학Ⅰ 수문사 (326p~329p)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서울대학병원 건강정보 의학백과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반응형
이 컨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커피 한잔☕️ 후원하기
지속적인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